흔히 허리 통증을 느낄 때 허리디스크를 의심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척추 전방 전위증의 경우에도 허리, 요통과 다리 저림을 수반하기 때문에 병원에 내원해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적절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척추 전방 전위증이란 척추뼈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어긋나면서 앞으로 이동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특히 척추 후방에 있는 후 관절 주변의 뼈나 근육, 인대가 퇴행되면서 척추뼈를 붙잡아주지 못해 위아래로 척추뼈가 앞뒤로 밀려나가면서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척추 전방 전위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허리와 엉덩이 부분에 지속적으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오래 걸을 때는 허리가 뻐근한 느낌을 받게 된다. 또,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하고 가벼운 외상이나 물건을 들다가도 통증이 생긴다.
이외에도 오래 앉아있을 때 통증이 생기는 하지방사통이 생기고 허리가 앞으로 들어가고 엉덩이가 많이 튀어나와 걸을 때 뒤뚱거리는 자세로 걷게 된다.
유전적인 요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일상생활 습관과 관련된 질병이라고 한다. 바닥 생활을 오래 하거나 쪼그리는 자세를 많이 취하는 경우, 그리고 척추 분리증 같은 선천적인 척추 불안정증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하며 반복적인 외상과 스트레스, 만성적인 허리디스크도 질환을 유발한다.
이러한 척추 전방 전위증은 병원에 내원한 후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게 파악한 뒤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법을 적용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약물이나 물리치료가 필요하며 인대강화를 위한 증식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하지만 증상 초기를 제외하고는 보존적 치료로 좋아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수술 치료를 계획하는 경우가 많다.
의정부 참튼튼병원 척추외과 김도근 원장은 “척추 전방 전위증의 경우 추간판 탈출증과는 달리 약물,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좋아지기 어려워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지만 척추뼈 한 마디를 굳히는 수술이기 때문에 20~30년이 지나면 굳힌 마디 위 또는 아래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으로 수술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서 “증세가 심해 보존적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며 “신경이 눌리는 것을 풀어주고 척추의 불안정증으로 인해 관절을 고정시키는 목적의 수술”이라고 말했다.
|